Blender Displacement 노드를 통한 표면 제작 세팅 과정
블렌더에서 디스플레이스먼트 노드 구성을 위해 쉐이더 에디터에서 다음과 같이 구성해 보았다.
돌 표면의 이미지를 Non-Color로 Bump 노드를 타도 BSDF의 Normal로 연결해 주었으며
다시 돌 표면의 이미지를 Displacement 노드와 연결해 Output의 Displacement와 연결했다.
Bump 노드는 텍스쳐의 이미지를 빛을 받은 것처럼 그림자 처리해 주고
Displacement는 텍스쳐의 이미지를 들어가거나 튀어나가게 해 준다.
Displacement가 들어가거나 튀어나오려면 오브젝트의 면은 충분히 나눠져있어야 한다.
Displacement를 적용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면을 충분히 나눠주었는데, 적용이 되지 않는다면 2가지 세팅을 다시 확인해보아야 한다.
- 렌더링이 Cycle로 되어있는가?
- Properties - Material Properites - Settings - Surface - Displacement - Displacement and Bump 설정이 맞는가?
Displacement 노드의 작동을 확인하였으면, 텍스쳐 소스의 반복 패턴을 깨주기 위한 노이즈를 섞어주고 환경제작에 활용한다.
*본 포스팅은 개인 공부 및 기록,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합니다.
'BLENDER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LENDER | 블렌더 모디파이어 - Radial Array (0) | 2023.01.09 |
---|---|
BLENDER | 블렌더 인터페이스 - 3D viewport (0) | 2023.01.04 |
BLENDER | 블렌더 라이팅 - HDRI 세팅 (0) | 2022.12.30 |
BLENDER | 블렌더 인터페이스 상단바 (0) | 2022.12.28 |
BLENDER | iMac 블렌더 설치 - 세팅 과정 (0) | 2022.12.27 |